티스토리 뷰
용적율 건폐율 확인하는 방법
필요하신 것부터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확인하고자하는 건물의 주소를 '토지이음'에서 조회만하면 3분이면 끝납니다.
용적율 건폐율 확인하는 방법 - 따라하기
용적율 건폐율 확인하는 방법 - 따라하기 토지이음에 접속하신 후, 아래 내용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너무 쉽습니다! 토지이음 바로가기 확인하고자 하는 건물의 주소를 입력 후 '열람' Click 건
lifegoeshp.com
아래부터는 용적율과 건폐율의 개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부분들을 위한 내용입니다
용적율이 무엇인가요
용적률은 건물 내부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용적률은 건물의 총 부피에 대한 실제 사용 가능한 공간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용적율 [%] = 실제 사용 가능한 건물 공간 총면적(지상층) / 건물이 지어진 부지 면적 |
예를 들어 1,000평의 부지에 지하층을 제외한 지상층의 총 면적 500평의 건물이 지어졌다면, 용적률은 50%입니다.
용적률은 건물설계와 도시계획의 중요한 요소이며, 용적률이 높은 경우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건폐율이 무엇인가요
건폐율은 건물이 부지를 차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건폐율은 주로 건물의 바닥 면적에 대한 부지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건폐율[%] = 건물이 건축되어있는 단면적 / 건물이 지어진 부지 면적 |
예를 들어 1,000평의 부지에 건물의 단면적 200평의 건물이 지어졌다면, 건폐율은 20%입니다.
높은 건폐율도 용적율과 마찬가지로 부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의미하며, 도시의 밀집도와 건축물의 활용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용적율과 건폐율의 연관성
용적율과 건폐율은 건물 설계에서 서로 연관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용적률은 높은 건폐율을 가집니다.
즉, 건물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건물이 부지를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특정한 건축물 유형이나 도시 계획의 목표에 따라 용적율과 건폐율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거용 건물은 일반적으로 높은 용적율과 건폐율을 가지지만, 공원이나 문화 시설과 같은 공공 공간은 낮은 용적율과 건폐율을 가질 수 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X 노선도, 요금, 개통시기, 소요시간 (0) | 2024.04.13 |
---|---|
GTX란? (개요, 노선, 기대효과) (0) | 2024.04.11 |
용적율 건폐율 확인하는 방법 - 따라하기 (0) | 2024.01.09 |
전세계약 신고방법 + 확정일자 받는방법 (0) | 2023.12.02 |
전세계약 신고방법 - 따라하기 (0) | 2023.12.02 |